즉심시불
내 몸과 마음이 곧 정토이며 아미타불이라고 관하여
마음속의 부처를 염하는 일 (출처 : 다음 백과사전)
마조선사(709~788)에게
하루는 대매(大梅) 승려가 선사를 친견하고 나서 묻습니다.
"부처란 무엇입니까?"
선사가 말했습니다. "卽心是佛."
이 후 대매는 대매산으로 돌아가 몇 년이 지나도록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마조선사는 한 승려를 보내 그 를 시험해 보도록 했습니다.
승려가 대매를 찾아 물었습니다.
"도대체 마조스님께 무슨 말씀을 듣고 깨달음을 얻으셨습니까?"
대매가 말합니다.
"즉심시불."
"그런데 요즘들어 마조스님의 말씀이 좀 달라지셨습니다."
"어떻게 달라졌단 말인가?"
이제 마조스님은 "비심비불"이라고 합니다.
대매가 말합니다.
"그 늙은이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짓을 언제나 그만둘까?
그 가 아무리 비심비불을 말한다 해도 나는 오로지 즉심시불일 뿐이다."
승려가 돌아와 마조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 하자 마조선사는 말합니다.
"매실이 익었구나."
언어에 매이게 되면 즉심시불, 비심비불에 휘둘립니다.
언어는 언어임을 알아야 합니다. 즉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입니다.
손가락을 달로 알면 달을 놓칠 뿐만 아니라 손가락도 놓치게 됩니다.
如何是祖師西來意? 뜰 앞의 잣나무이니라.
언어에 매이면 뜰 앞의 잣나무가 정말 달마조사가 서쪽에서 온 이유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부처가 무엇입니까?라는 물음과 달마조사가 서쪽에서 온 이유가 무엇입니까?라는 물음은
알고 싶은 마음의 표현입니다.
질문은 삶이 계속되는 한 계속될 것입니다.
질문을 더이상 하지 않게 되는 순간은 눈에 흙이 들어가는 순간입니다.
질문이 있다는 것이 아름다운 것입니다.
눈 먼 도시에서 홀로 눈을 뜨게 되면 그는 위험한 존재입니다.
눈 뜬 존재는 이방인이며 그는 그를 위해 다시 자신의 눈을 멀게 할 것입니다.
그래도 눈을 뜨고자 하면 눈을 떠야지요.
'일반폴더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證道歌 永嘉 玄覺 大師 (0) | 2015.11.27 |
---|---|
[스크랩] 설경 2 (20P) (0) | 2015.11.26 |
[스크랩] 이백(李白)과 두보(杜甫)| (0) | 2015.03.10 |
[스크랩] 똑똑한 승려와 고집센 승려 (0) | 2014.12.25 |
태극기 (0) | 201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