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은 지난 2006년 태양계 행성의
지위를 잃고 '왜소행성'으로 강등됐는데,
그 이유가 뭔지 혹시 알고 계신가요?
내가 왜소행성이 되었다 그 말인가?
세일러 플루토: 명왕성이 행성이 아니라니 이게 무슨 소리요, 나사 양반..
![](http://t1.daumcdn.net/liveboard/samanco/201507/1436926175411.jpg)
"명왕성의 질량 중심은 명왕성과 카론의 중간 지점에 있다"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은 모두 이 질량 중심이 행성 내부에 있는 데 반해 명왕성은 질량 중심이 명왕성과 카론의 중간 지점에 있다. 카론의 지름이 명왕성 지름의 절반에 달할 만큼 크기 때문이다.관련기사 : 연합뉴스 · 명왕성엔 고래가 있다?..베일 벗기는 뉴 호라이즌스
![까칠](https://m1.daumcdn.net/img-media/media4/pack_kakao/2202002/emot_008_x1.png)
질량 중심이 행성 내부에 없어요?
무슨 소린지 딱 감이 잘 안 오는데..
움짤로 보는 명왕성과 카론의 관계.gif
![](http://t1.daumcdn.net/liveboard/samanco/201507/1436922784111.gif)
![옳다구나!](https://m1.daumcdn.net/img-media/media4/pack_kakao/2202002/emot_049_x1.png)
아하, 그런 거였군요~
오늘도 새로운 지식이 늘었다..!
명왕성과 카론은 이처럼 밀접하게 맞붙은 채 수십억 년째 같은 궤도를 공전하고 있지만 두 별은 닮은 점보다는 다른 점이 더 많다.
명왕성에는 상당한 양의 대기가 있지만 카론은 그렇지 않다. 명왕성에서는 냉각된 질소나 메탄, 일산화탄소 등이 발견됐지만 카론의 표면은 얼음과 암모니아 복합물로 구성돼 있다.
명왕성 내부가 대부분 암석인 반면 카론은 바위와 얼음이 반씩이다. 명왕성은 불그스름한 색을 띠지만 카론은 그렇지 않다.관련기사 : 연합뉴스 · 명왕성엔 고래가 있다?..베일 벗기는 뉴 호라이즌스
명왕성에는 상당한 양의 대기가 있지만 카론은 그렇지 않다. 명왕성에서는 냉각된 질소나 메탄, 일산화탄소 등이 발견됐지만 카론의 표면은 얼음과 암모니아 복합물로 구성돼 있다.
명왕성 내부가 대부분 암석인 반면 카론은 바위와 얼음이 반씩이다. 명왕성은 불그스름한 색을 띠지만 카론은 그렇지 않다.관련기사 : 연합뉴스 · 명왕성엔 고래가 있다?..베일 벗기는 뉴 호라이즌스
지구, 달, 명왕성, 카론의 크기 비교
출처 : NASA
![](http://t1.daumcdn.net/liveboard/samanco/201507/1436923119104.png)
태양계를 벗어나 다시 외롭고 먼
항해를 시작한 뉴호라이즌스호,
마음으로나마 응원을 보냅니다. ₍(૭ ᐕ)૭⁾⁾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데닌 시토신 구아닌 티민 에대해 (0) | 2015.09.06 |
---|---|
다이아몬드의 특성 (0) | 2015.07.23 |
쿼크 (0) | 2015.05.22 |
양자물리학의 신비한 세계 (0) | 2015.05.22 |
핵융합 (0) | 2015.05.12 |